현대 N, 차세대 전동화 비전 담은 ‘RN24 롤링랩’ 공개

전동화 기술의 미래를 달린다 – RN24의 고성능 기술력

현대자동차가 고성능 브랜드 N의 차세대 전동화 비전을 집약한 결과물을 선보였다. 고성능 롤링 랩 ‘RN24’는 현대자동차가 10여 년 간 월드랠리챔피언십(WRC)에서 쌓은 경험과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에서 얻은 기술력을 결합해 탄생했다. 

현대자동차는 25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현대 N 데이’ 영상을 공개하고, 고성능 롤링랩 ‘RN24’를 공식 발표했다. 롤링 랩(Rolling Lab)은 ‘움직이는 연구소’라는 뜻으로, 모터스포츠에서 쓰인 고성능 기술과 각종 선행 기술을 실제 주행 환경에서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RN24는 2년 전 발표한 전기차 ‘RN22e’와 수소전기 하이브리드차 ‘N 비전 74’를 잇는 현대 N의 차세대 롤링 랩이다. RN24는 아이오닉 5 N의 고성능 기술을 ‘더 작고, 더 민첩한’ 차체에 담았다. 전기차는 배터리로 인해 무겁다는 통념을 깨고, 더 가볍고 민첩한 주행 성능을 실현했다.

아이오닉 5 N의 최고출력 650마력의 PE(Power Electric) 시스템을 작은 차급으로 구현해, 2014년부터 WRC에 참여하면서 쌓아온 노하우를 RN24의 섀시 설계에 적용했다. 특히 WRC 차량의 롤 케이지 기반의 ‘엑소 스켈레톤’ 설계를 통해 차량 상단부에 강판을 제거하는 등 경량화에 중점을 두었다. 이로 인해 고강도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경량화를 이루고자 했다.

RN24의 공차중량은 1,880kg으로, 아이오닉 5 N(2,200kg)보다 300kg 이상 가볍다. 또한 휠베이스 역시 2,660mm로 아이오닉 5 N(3,000mm)보다 300mm 이상 짧아졌다. 이를 통해 RN24는 더욱 기민하고 날렵하게 움직일 수 있다. 가벼운 무게와 짧아진 휠베이스 덕분에 코너링 성능이 향상됐다. 

유럽식 차급 분류에 따르면 RN24는 소형차급인 B세그먼트, 아이오닉 5 N은 준중형차급인 C세그먼트로 구분된다. 이는 RN24가 보다 민첩한 반응성과 스포츠카에 가까운 주행 특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경량화와 차체 설계의 변화는 단순히 차량의 기민함에만 그치지 않는다. 운전자 역시 보다 생생하고 역동적인 주행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차량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급가속과 급제동 시 반응 속도가 빨라지고, 좁은 곡선 도로에서도 보다 빠르고 정확한 핸들링이 가능해졌다. 고성능 차량을 선호하는 자동차 애호가들에게는 커다란 매력 포인트다. 

 

남양 연구소의 전자제어 기술, RN24에 집약

RN24에는 현대자동차그룹 기술연구소인 남양 연구소가 개발한 다양한 선행 기술이 탑재되었다. 대표적으로 ‘랠리 모드 전자식 사륜제어 기술’은 현대 N의 특징인 ‘코너링 악동’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 기술은 코너 주행 시 운전자의 의도를 반영해 네 바퀴의 회전량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코너링 성능을 극대화한다.

특히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열린 ‘WRC 중부유럽 랠리’에서 아이오닉 5 N을 통해 랠리 모드 전자식 사륜제어 기술을 검증하며, 험준한 산악 도로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다. 이를 통해 RN24는 더욱 정밀하고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구현해냈다.

랠리 모드 전자식 사륜제어 기술은 단순히 네 바퀴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차량 기울기와 무게 중심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운전자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하도록 설계됐다. 이로써 험준한 산악 도로나 급격한 곡선 구간에서 뛰어난 제어력을 발휘하며, 고속 주행 중에도 안정감을 유지하는 데도 기여한다. 전기차의 특성을 반영한 기술적 진보로,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주행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RN24에는 전자기술 기반의 E-핸드브레이크가 적용되었다. 회생 제동을 통해 뒷바퀴를 잠그는 방식이다. 유압식 장치 대비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관된 제동력을 제공하며 차량의 경량화에도 기여했다. 유압식 핸드브레이크와 달리 전자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E-핸드브레이크는 온도 변화에 영향을 덜 받아 언제 어디서든 일관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랠리와 같은 고난도 주행 환경에서 큰 이점을 제공하며, 드라이버가 더 큰 자신감을 갖고 차량을 조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드리프트와 같은 고난도 조작에서도 E-핸드브레이크는 정확하고 빠른 반응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더욱 재미있고 역동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더불어 ‘N 액티브 사운드 플러스’는 아이오닉 5 N보다 두 개의 스피커를 추가로 탑재해 총 네 개의 스피커로 경주용 내연기관차의 배기음을 EV에서도 재현했다. 이 기술은 전기차에서 내연기관 특유의 역동적인 사운드를 제공함으로써 드라이버의 주행 감성을 자극한다. EV 특유의 조용한 환경을 보완하면서도 스포츠 드라이빙의 즐거움을 더해, 운전의 즐거움을 한층 끌어올렸다. 

N 액티브 사운드 플러스는 단순히 소음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아니다. 주행 상황에 맞춰 실시간으로 변하는 음향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몰입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가속 시에는 배기음이 점점 강렬해지며, 감속 시에는 자연스럽게 소리가 줄어드는 등 실제 내연기관 차량과 유사한 주행 감각을 만들어낸다. 이는 전기차에 스포티한 감성을 결합한 것으로, 전기차의 단조로운 주행감을 보완하고자 하는 현대 N의 철학을 담고 있다.

 

RN24의 공개와 함께 대중과의 만남 예고

이번 ‘현대 N 데이’에서는 RN24의 개발 토대가 된 아이오닉 5 N의 전 세계적 성과에 대한 발표도 이어졌다. 아이오닉 5 N은 미국 ‘월드카 어워드’와 영국 ‘탑기어 어워즈’에서 올해의 차로 선정된 바 있다. 이번 수상 실적은 고성능 전기차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신뢰를 입증하는 동시에, 현대자동차의 기술적 리더십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다.

또한, 지난 6월 미국 콜로라도에서 열린 ‘파이크스 피크 힐클라임’에서는 양산형 전기차 기준 신기록을 세우며 고성능 EV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 기록은 현대자동차가 단순히 전동화 기술을 개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세계적인 모터스포츠 무대에서 증명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현대자동차는 RN24를 오는 27일 경기도 용인에서 열리는 ‘현대 N x 토요타 가주 레이싱 페스티벌’에서 처음으로 전시하고, 시운전 행사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 페스티벌은 자동차 애호가들과 일반 대중이 고성능 전기차를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현대자동차의 전동화 기술을 널리 알리는 중요한 자리로 기대된다.

현대자동차 N브랜드매니지먼트실장 박준우 상무는 “RN24 롤링랩을 통해 아직 개척되지 않은 전동화 기술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겠다”며, “운전의 즐거움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고성능차 개발에 대한 N 브랜드의 강한 의지를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앞으로도 현대자동차가 전동화 시대에 걸맞는 혁신적이고 감동적인 주행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할 것임을 시사한다.

현대자동차는 앞으로도 롤링랩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고성능 기술들을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기차의 한계를 극복하고, 내연기관차 이상의 드라이빙 재미를 제공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RN24의 등장은 현대자동차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차세대 고성능 전동화 기술의 리더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중요한 한 걸음이 될 것이다.

Leave a Comment